뭉크테크
서브넷 마스크와 CIDR 본문
서브넷 마스크
ip주소는 크게 2개의 파트로 나눠진다. 위사진을 보면, 24bit의 N/W ID와 8bit의 Host ID로 나눠진다. 그럼 무엇을 기준으로 저렇게 나눠진 걸까?
여기서 우리는 서브넷 마스크라는 놈을 살펴봐야한다. 서브넷 마스크는 뭐하는 놈이냐면 서브넷 마스크를 기준으로 N/W ID와 Host ID를 잘라낸다.
예를 들어 192.168.56.11을 2진수로 표현하면 등호 오른쪽 값과 같다. 그리고 서브넷 마스크 값이 현재 255.255.255.0 이며, 이를 또 2진수 표현하면, 해당 값의 등호의 오른쪽과 같다. 그리고 두 값을 자리에 맞게 bit 단위로 AND 연산을 거치면, 위 사진의 결과와 같이 나온다. 이때 해당 연산을 MASK 연산이라 하며, 해당 연산 결과 값을 통해 우리 네트워크로 오는 패킷이다 라는 걸 판단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이러한 서브넷 마스크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비트와 호스트 비트 수에 따른 클래스라는 개념이 있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4%A4%ED%8A%B8%EC%9B%8C%ED%81%AC_%ED%81%B4%EB%9E%98%EC%8A%A4
네트워크 클래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82년 프로토타입 인터넷 지도 네트워크 클래스는 IPv4에서 IP 주소의 첫 번째 구조 변화를 나타낸다. 클래스 도입 이전 [편집] 원래 32비트 IPv4 주소는 호스트가
ko.wikipedia.org
위 글을 읽어보면, 자세히 나온다. 그러나 현재 오늘날은 저 개념이 사라진 상태이다. 컴퓨터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저러한 개념이 불편해지기 시작한 것이다.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CIDR
CIDR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사이더)는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기법으로 1993년 도입되기 시작한, 최신의 IP 주소 할당 방법이다. CIDR는 기존의 IP 주소 할
ko.wikipedia.org
예전에는 192.168.0.10, 255.255.255.0 이렇게 2줄로 표기한 것을 요즘에는 IP를 표기할 때 192.168.0.18/24 처럼 1줄로 깔끔하게 표현이 가능하다.
그 다음에 192.168.0.10/24로 했을 때 /의 뒤 숫자를 기준으로 값을 잘라내는것은 동일하나 옛날에는 mask연산으로 그 결과비교를 AND연산을 했지만 지금은 그냥 /의 숫자 bit만큼 비교해서 관계연산(==)을 한다.
그래서 해당 그룹을 찾아낼 수 있다. 이 방식을 CIDR라고 한다. 이런 표기 방식은 AWS같은 클라우드를 공부할때 많이 보인다.
여기서 더 나아가서
만약 192.168.0.0/24 이라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비트 수를 늘려 네트워크를 나눌 수 있게되는데 이러한 개념을 서브넷팅이라 한다. 서브 네트워크로 분할한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192.168.0.0/24에다가 네트워크 비트 수 2개를 더 늘리면, 192.168.0.0/26, 192.168.0.64/26, 192.168.0.128/26, 192.168.0.192/26 이라는 네트워크로 나눠볼 수 있다.
출처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강의 | 널널한 개발자 - 인프런
널널한 개발자 | TCP/IP에서 HTTP까지!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이론이 부족한 분들이 '외워서'라도 전공 이론을 이해하고자 희망하는 분들을 위해 준비한 강의입니다.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외
www.inflearn.com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TL과 단편화 (1) | 2025.01.09 |
---|---|
Broadcast IP (0) | 2025.01.08 |
IPv4 헤더 형식 (0) | 2025.01.08 |
TCP/IP 송수신 구조 (0) | 2025.01.08 |
IPv4란 무엇인가, 패킷의 생성과 소멸 과정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