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웹 서비스 기본 구조

개요네트워크같은 인프라구조를 공부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뭐냐면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웹서비스에서 쓰이는 기본 프로토콜이 HTTP이다. 근데 HTTP라는 것은 TCP/IP연결 다음에 존재한다. 그러니까 HTTP 트래픽은 소켓 수준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따라서 스트림 즉, 끝을 알기 어려운 데이터가 쭉 나열진 형태에서 파생된 것이다.  문제는 네트워크(TCP/IP와 같은 인터넷 네트워크)로 무언가를 보낼 때는 IP 최대크기 단위 MTU가 1500 밖에 안되니까 이 스트림을 TCP 스택 수준에서 짜른다. 이 짤려진 조각 1개를 세그먼트라고 한다면 이 세그먼트를 패킷으로 Encapsulation 해서 전송한다. 이렇게 스트림 데이터는 분해가 일어난다. 그래서 HTTP 트래픽은 가로형태로 데이터를 이..

2025.01.10

굵고 짧게 살펴보는 HTTP

굵고 짧게 살펴보는 HTTPHTTPHTTP는 HTML문서를 전송받기 위해 만들어진 응용프로그램 계층 통신 프로토콜이다.1996년에 1.0스펙이 발표되었으며, 1999년 6월에 1.1이 발표되었다.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형식으로 작동한다.헤더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일반 헤더요청 헤더응답 헤더엔티티 헤더요청에 사용되는 메서드는 주로 GET, POST이다.HTTP는 HTML문서를 전송하고 전송받기 위해 만들어진 L7 프로토콜이다. 핵심은 헤더이다. 헤더는 TCP/IP에서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어떤 단위로 데이터다 잘라지는데 IP 네트워크인 경우 최대 MTU로 잘라진다. 그래서 이 MTU에 IP Header가 나오고 그 뒤에 Payload가 온다. 중요한 것은 단위 데이터로 잘라지다 보니..

2025.01.10

URL과 URI

URL과 URIUniform Resource LocatorUniform Resource Identifier웹 기술을 이야기 앞에 있어서 기본적인 용어정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 가장 중요한 용어 2가지가 URL과 URI다. 우리가 앞서서 도메인에 대해 배웠다. 도메인에는 Domain Name과 Host Name으로 분리해서 생각하는게 좋다. 여기서 중요한게 URL이 있고 URI가 있는데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로 위치지정자로 말할 수 있고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식별자라 말할 수 있다.( 자원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는 고유한 식별자로 사용)그럼 여기서 Resource는 무엇일까? 웹 기술이라는 것에 한정지어서 생각해보자. 웹을 이야기할 때 가장 ..

2025.01.10

웹 기술 창시자와 대한민국의 인터넷

웹 기술 창시자와 대한민국 인터넷웹 기술의 창시자CERN(입자물리연구소)에서 컨설턴트로 근무정보검색 시스템 구축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웹 기술을 창안HTML, HTTP의 창시자개요(어쩌다 나오게 되었나)아마도 네트워크 공부하는 분들의 많은 이유 중 하나가 웹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부분도 있을 것이다. 좋든 싫든 2023년 현재 왠만한 서비스들은 웹기술로 작동한다. 이런 웹기술을 처음 창시한 분이 팀 버너스리이다. 팀 버너스리라는 원래 유럽의 입자물리 연구소에서 일을 하였다. 또한 여기서 정보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그게 바탕이 되서 오늘날의 웹 기술이 탄생한 것이다. 여기서 한가지 주목해봐야 하는 것이 '입자물리연구소'이다. 연구소의 임직원분들이 하는 일이 논문을 보는것이다.A라는 논문에는 제목..

2025.01.10

한 번에 끝내는 DNS

DNS분산 구조형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 시스템(DNS 네임서버)의 분산구성데이터 영역별 구분(Domain Zone) 및 분산관리도메인의 네임서버 및 도메인 데이터는 해당 관리주체에 의해 독립적으로 관리됨트리구조의 도메인 네임(Domain Name) 체계Domain: 영역, 영토를 의미도메인 네임의 자율적 생성생성된 도메인 네임은 언제나 유일하도록 네임체계 구성개요OSI 7 Layer의 L1~L4는 Infra Structure로 볼 수 있다. L5~L7의 Application 뭔가 목적화 되는 것이고 이 Application들을 위해서 Infra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인터넷을 이루고 있는 각 종 서비스라는 것이 Application 계층에 존재한다. 근데 Application 계층에 존재하는..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