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네트워크같은 인프라구조를 공부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뭐냐면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웹서비스에서 쓰이는 기본 프로토콜이 HTTP이다. 근데 HTTP라는 것은 TCP/IP연결 다음에 존재한다. 그러니까 HTTP 트래픽은 소켓 수준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따라서 스트림 즉, 끝을 알기 어려운 데이터가 쭉 나열진 형태에서 파생된 것이다. 문제는 네트워크(TCP/IP와 같은 인터넷 네트워크)로 무언가를 보낼 때는 IP 최대크기 단위 MTU가 1500 밖에 안되니까 이 스트림을 TCP 스택 수준에서 짜른다. 이 짤려진 조각 1개를 세그먼트라고 한다면 이 세그먼트를 패킷으로 Encapsulation 해서 전송한다. 이렇게 스트림 데이터는 분해가 일어난다. 그래서 HTTP 트래픽은 가로형태로 데이터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