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OSI 7 Layer와 식별자

뭉크테크 2025. 1. 9. 21:38

OSI 7 Layer와 식별자

L1계층(Physical)은 전선의 규격, 신호의 세기, 전압의 크기등 이런 물리적인 것들을 다루는데 여기서는 생략을 하도록 하자. L2계층(Data-Link)에서는 Ethernet(유선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 볼 예정이며 L3계층(Network)에서는 기본적으로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Internet에 대해서만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으로 돌아가는 L4계층에서는 TCP, UDP에 대해 알아 볼 예정이며 L5에서는 SSL(TLS) L7에서는 HTT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 볼 예정이다. L7의 HTTP와 L5의 SSL을 합쳐서 HTTPS라는 프로토콜이 나왔다.

 

이런식으로 OSI Layer를 분류했을 때 L1~L2는 NIC + Driver, L3는 IP, L4는 TCP, L5~L7은 Chrome App 같은것을 커버한다.

 

식별자

식별자란 우리의 주민번호, 이름등이 식별자이다. 네트워크에서도 식별자라는 게 있다.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 것이 대상을 식별하는데에 대한 어떤 근거가 있는데 그게 중요하다.

 

L2수준에서 식별자는 MAC Address(H/W 주소)가 있는데 이 MAC 주소가 NIC를 식별한다. 즉, MAC주소는 주민등록번호가 사람한테 붙듯이 MAC주소도 NIC에 붙는다. 만약 NIC가 3개 붙은 PC가 있다고 하면 MAC주소도 3개가 될 것이다. 즉, MAC 주소는 LAN 카드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L3수준에서 식별자는 IP주소이다. IP주소에는 Version이 있는데 V4, V6라는 버전이 있다. 이 중에서도 V4 버전을 살펴볼 예정이다. IP 주소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컴퓨터 즉, Host를 식별하는 식별자다.

 

L4수준에서 식별자는 Port번호인데 Port번호는 관점에 따라 무엇을 식별하는지 달라진다.

만약 관점을 L2로 두는 랜 케이블을 직접 인터페이스에 꽂는 일을 하시는 분은 Port번호를 인터페이스 식별자라고 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란 LAN 케이블과 스위치의 연결 접점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만약 관점을 L3~L4로 두는 네트워크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웹 서비스 식별자라고 하며

L5~L7로 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주로 Process 식별자라고 한다.

 

내 PC의 연결된 ip주소, mac주소등을 알고 싶다면 터미널에 ipconfig /all 명령어를 쳐보면 된다.

 

추가적으로 OSI 7 Layer 말고 DoD 4 Layer가 있는데 L1~L2는 Network Access 계층이라고 부르고 이것은 H/W 관점에서 설명하는 계층이고 L3계층은 똑같이 Internet 계층, L4계층을 Host to Host 계층, L5~L7은 Application 계층이라고 불린다.

 

 

출처

https://www.inflearn.com/course/%EB%84%A4%ED%8A%B8%EC%9B%8C%ED%81%AC-%ED%95%B5%EC%8B%AC%EC%9D%B4%EB%A1%A0-%EA%B8%B0%EC%B4%88/dashboard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강의 | 널널한 개발자 - 인프런

널널한 개발자 | TCP/IP에서 HTTP까지!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이론이 부족한 분들이 '외워서'라도 전공 이론을 이해하고자 희망하는 분들을 위해 준비한 강의입니다.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외

www.inflearn.com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와 UDP 개요  (0) 2025.01.09
Host란 무엇인가  (0) 2025.01.09
Ping과 RTT  (0) 2025.01.09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0) 2025.01.09
인터넷 자동화 설정을 위한 DHCP  (0)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