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16)
뭉크테크

Ping과 RTTping 유틸리티(프로그램)는 특정 host에 대한 RTT(Round Trip Time)를 측정할 목적으로 사용된다.ICM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DoS(Denial of Service) 공격용으로 악용되기도 한다.ping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게임을 하면 게임서버에 사용자들이 함께 연결되서 사용자들이 게임을 같이 할 것이다. 문제는 여러 사람이 게임서버에 접속해 같이 게임을 하면 같은 화면을 보면서 진행이 될 것이다. 이 상황을 애기할때 동기화 이야기가 나온다. 내가 보는 화면과 상대방이 보는 화면이 같아야 한다. 만약 동기화가 깨져서 내가 보는 화면과 상대방이 보는 화면이 서로 다르다면 원활히 게임이 어려울 것이다. 이 때 재밌는 것이 나와 상대방이 게임서버 회선 연결상태를..

ARPARP는 IP주소로 MAC주소를 알아내려 할 때 활용된다.보통의 경우 PC를 부팅하면 게이트웨이의 MAC주소를 찾기 위해 ARP Request가 발생하며 이에 대응하는 Reply로 MAC 주소를 알 수 있다.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인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단어가 Address이다. 이 Address가 무엇일까?이 Address는 2가지가 있는데일단 첫째로, IP주소가 있고둘째로 MAC주소가 있다.복습차원에서 다시 보면 컴퓨터의 주소라는 것은 2가지가 있는데 첫째로 컴퓨터에 인터넷이 연결되려면 IP주소가 필요하다. 그러니까 IP주소는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논리 네트워크에서 이 host를 unique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이다. 그런데 이 host에 네트워크 인터페이..

인터넷 사용 전에 해야 할 설정IP주소서브넷 마스크게이트웨이 IP 주소DNS 주소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려고 하면 설정해야 할게 되게 많다. 기본적으로 호스트를 식별해주는 유니크한 값인 IP주소를 설정해야 한다. IPv4에서 32bit 어떤 숫자값이 나와야 한다. 근데 그 값이 어떤 값인지 우리는 알 수 없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인터넷이라는 것을 돈 주고 사용하는데 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회사를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라고 한다.즉, IPS쪽에서 IP주소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 주소들중에 1개를 부여해준다. 다음에 서브넷 마스크 설정을 해줘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게이트웨이 IP 주소 설정을 해줘야 한다. 즉,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설정까지 L3에 대한..

인터넷은 라우텅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는 논리 네트워크이다. 물론 완전한 정의가 아닌, 여러 의견이 갈릴 수 있는 하나의 의견일 뿐이다. 라우터하고 비교해서 생각해봐야 할께 L3 스위치이다. 이게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라우터라는 것이 L3 스위치 일종이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고 그래서 이 2개를 구분하는게 의미없다라고 생각할 수 있고 L3스위치가 라우터의 일종이다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이런 논란이 있는데 나와 강사님의 생각은 이 2개를 구분하는게 의미없다 생각한다. 라우터라는것은 개념적으로 봤을 때 큰 틀에서 L3스위치에 포함된다 생각한다. 인터넷의 핵심 요소는 라우터와 DNS라고 본다.일단 먼저 라우터가 뭔가일단 라우터는 라우팅을 해주는 장치이며, 현실로 예를 들면, 택배 물류센터와 같다. 이러..

네트워크 상에 모든 호스트들에게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IP 이다. 해당 IP 설정 방법은 호스트에 해당 하는 비트를 모두 0으로 설정해주면 된다. 예를 들어, 192.168.0.0/24 이라는 네트워크가 있다면, 192.168.0.255/24 라는 IP로 만들어주면, 이를 브로드 케스트 IP 주소라고 부른다. MAC주소는 FF-FF-FF-FF-FF-FF가 된다. 위 두개를 IP packet 헤더에 각각 목적지 IP 주소, 목적지 MAC 주소로 설정하면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럼 broadcast를 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위 그림에서 N/W 대역이 192.168.0.0/24 이라고 하면, 192.168.0이 N/W ID가 되는거고 그러면 이 N/W에서 인터넷으로 날라갈때, ..

서브넷 마스크ip주소는 크게 2개의 파트로 나눠진다. 위사진을 보면, 24bit의 N/W ID와 8bit의 Host ID로 나눠진다. 그럼 무엇을 기준으로 저렇게 나눠진 걸까? 여기서 우리는 서브넷 마스크라는 놈을 살펴봐야한다. 서브넷 마스크는 뭐하는 놈이냐면 서브넷 마스크를 기준으로 N/W ID와 Host ID를 잘라낸다.예를 들어 192.168.56.11을 2진수로 표현하면 등호 오른쪽 값과 같다. 그리고 서브넷 마스크 값이 현재 255.255.255.0 이며, 이를 또 2진수 표현하면, 해당 값의 등호의 오른쪽과 같다. 그리고 두 값을 자리에 맞게 bit 단위로 AND 연산을 거치면, 위 사진의 결과와 같이 나온다. 이때 해당 연산을 MASK 연산이라 하며, 해당 연산 결과 값을 통해 우리 네트워크..

패킷이라는 것은 header 시작부터 payload 끝까지이며 최대 크기를 MTU라고 하고 통상의 경우 1500byte의 크기를 가진다. 이 패킷의 IP Header의 option이라는 것이 붙지 않으면 header의 크기는 20byte정도이고 payload는 1500 - 20 = 1480byte정도 된다. 그런데 위 그림을 보면 좀 이상한게 보이는데 data 부분이 최대 65515로 되어있는데 결국 패킷의 크기가 64KB정도 될수는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고 MTU에 맞춰서 운영이 된다. MTU가 늘어나는 사례도 있기는 하지만 이런 특수한 환경은 지금은 일단 생각하지 말자. 아무튼 IP Header는 보통의 경우 20byte정도이다. 위 그림을 보면 위 그림의 가로 시작부터 끝까..

TCP/IP 송수신 구조 네이버에서 1.4MB 파일을 다운로드한다고 상상해보자. 해당 파일은 스트림 형태로 내려가 세그먼트화된 1000 개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리된 다음, 패킷 형태로 감싸서 아래 계층까지 내려가 결국 스위치와 라우터를 거쳐 요청한 사용자의 프로세스로 흘러들어가게된다.이를 더 깊게 생각해본다면, TCP로 통신을 시도할려고 한다음, 연결이라는 과정을 거친다. 연결은 마치 통화하는 것과 같다. 통화를 하면, 연결 수신음이 들린 뒤 서로 대화를 하지 않는가? 이와 똑같다. TCP/IP 구조를 이용하여 방금 설명한 네트워크의 흐름을 깊게 들어가보면, 서버에 HDD가 있을것이다. 그 저장 장치(HDD)안에 파일을 서버의 버퍼로 복사한다. 이때, 버퍼는 개발자가 임시로 설정한 크기만큼 잠시 담아둘..

Ipv4 주소 IP주소란 함은 인터넷에서 호스트, 즉 PC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 식별자이다. 형태는 위 사진과 같으며, 점을 기준으로 각각 8비트씩 부여된다. 8비트를 통해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총 256가지(10진수 기준 0~255) 이다. IP 주소를 특정 사무실의 주소라고 생각해보면 쉽다. 그리고 인터넷을 고속도로라고 생각해보고, IP 주소가 있는 패킷을 택배라고 생각해보자. 택배를 많이 받아보면 알 수 있는 것이 바로 물류 센터이다. 각 물류 센터들은 특정 도, 시, 특정 구, 특정 동 을 커버하는 각각의 물류센터들이 있을 것이다. 그 택배물들이 무수히 많이 쏟아져 나올테고, 그 사이에서 그 택배물들을 특정 지역으로 옮기기위해 택배물들을 분류할 것이다. 택배 물류 센터들은 해당 택배들이 정..

NIC + frame + Lan card +MACNIC는 흔히 LAN 카드여기서 LAN 이란 네트워크의 규모를 말한다.유무선 NIC가 있지만, 굳이 구별하지 않고 NIC 라고 할 때가 많다. 노트북 같은 경우 랜카드가 2개이다. 무선 랜카드는 무조건 꽂혀 있다고 한다. NIC는 HW 이며, MAC 주소를 가진다.이더넷 네트워크에서는 frame 이라는 단위가 있고, 최대 1514 byte 밖에 안된다. 그런데 점보 프레임이라는 걸로 가게된다면, 10K 조금 안된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고 한다.https://blog.naver.com/juwaa1004/221521933146 점보프레임이란? 설정 방법은...점보프레임이란? 설정 방법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단한 네트워크 관련 팁(tip) 하나 알려..